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맛

장작더미보다 흔했던 명태

반응형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얼큰한 생태찌개가 구미를 당긴다.

생태,동태,북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명태는 가장 한국적인 생선이다.

때문에 생태찌개,북어구이,명란젓 등등 한국인의 밥상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 됐다.

명태가 서민의 사랑을 듬뿍 받게 된 것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잡혔기 때문이다.

얼마나 흔했는지 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원은<임하필기>라는 문집에
"함경도 원산을 지나다 명태 쌓여 있는 것을 보았는데 마치 한강에 땔나무를 쌓아놓은 것처럼 많아서
그 숫자를 헤아릴 수조차 없다"고 적었다.

원산에 명태가 산더미처럼 쌓인 것은 동해안에서 명태가 엄청나게 잡히기도 했지만 원산이 명태의 집산지였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동해안에서 잡힌 명태의 상당수가 원산시장을 통해 전국으로 퍼져나갔으니 명태쌓은 모습이 산더미처럼 보였을 것이다.

고종 때 <일동기유>를 쓴 김기수 역시 "살아 헤엄치는 명태가 물에서 활발하게 노는 것조차 구경거리가 되지 못할 정도고
너무 많이 잡히고 값이 싼 까닭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산골짜기에 사는 노인과 여자, 아이들까지도 명태를 모르는 사람이 없다"고 적었을 정도다.


너무 흔해서 가난한 사람도 매일 반찬으로 먹었을 정도라고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 크지 않은 물고기의 온갖 부위를 알뜰하게 먹었다.

껍질에서부터 아가미,내장,심지어 눈알까지 빼내어 요리로 만들었다.
살코기인 몸통은 물론이고 내장으로는 창란젓, 알로는 명란젓, 아가미로는 아가미젓을 담근다.
껍질은 벗겨서 어글탕을 끓이거나 쌈을 싸먹고 눈알로는 명태 눈 초무침을 만든다.
내장을 꺼내어 창란젓을 담그고 난 후 빈자리에는 고기와 채소, 두부 등 양념해 다진 소를 넣고 명태순대를 만든다.




명태가 너무 흔했기 때문인지 맛있게 먹으면서도 사람들은 명태를 천하게 취급했고 남을 흉볼 때는 명태에다 비유해
욕을 했으니, 명태 입장에서 볼 때는 뒷담화도 이런 뒷담화가 없다.

속담에 " 명태 만진 후 손 씻은 물로 사흘 동안 찌개를 끓인다" 는 말이 있는데 인색한 사람을 탓할 때 쓰는 말이다.
그렇지 않아도 흔해 빠진 명태이니 자린고비보다 더하다.

"명태 한 마리 놓고 딴전 본다"는 속담은 겉으로는 별 볼 일 없는 명태 장사를 하는 척하면서 다른 장사를 한다는 뜻이다.

" 북어 껍질 오그라들듯 한다"는 말은 재산이 점점 적어진다는 의미다.
말이 많거나 거짓말을 할 때 쓰는 '노가리 깐다'는 속어도 명태가 한꺼번에 많은 새끼를 낳는 것에 빗대어 생긴 말이다.
노가리는 명태의 치어다.
그렇지 않아도 흔한 생선인데 거기에 새끼까지 엄청나게 많이 낳으니 반가울 것도 없다.

이렇게 흔했던 생선인데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류성 어종인 명태를 더 이상 우리나라 바다에서는 예전처럼 찾아볼 수 없으니 안타깝다. 사실 지금 우리가 먹는 명태의 90%는 러시아에서 잡은 것으로, 예전에는 명태가 북해에서 경상도 울진까지 내려왔지만 지금은 원산까지만 내려왔다 다시 북상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