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맛 썸네일형 리스트형 매생잇국은 임금님 수라상에 오른 음식 요즘은 매생잇국 좋아한다는 사람이 많아졌다. 날씨가 추워졌을 때 마늘로 양념하고 큼직한 굴을 넣어 끓인 매생잇국에 참기름 몇 방울 떨어트려 훌훌 떠먹으면 고소하고 향긋한 맛이 일품이다. 흔한 표현으로 입속에서 파도가 넘치는 느낌이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자주 찾으니 매생이 값도 예전에 비해 많이 비싸졌다. 비숫한 녹조류 식품인 파래와 비교해도 매생이가 더 비싸다. 예전에는 어쩌다 파래에 매생이가 몇 올 섞이면 파래 값 떨어진다고 어촌 마을에서는 질색을 했는데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역전됐다. 하지만 매생이는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널리 알려진 음식은 아니었다. 전라남도 해안 지방에서 주로 먹었을 뿐 전국적으로는 매생이라는 이름조차 낯설었다. 사실 매생이가 널리 알려진 것은 김대중 대통령이 집권하.. 더보기 배춧국은 북촌 양반의 가을 별미 가을 해 질 무렵, 골목길에서 정신없이 뛰놀다 ' 아무개야 밥 먹어라 ' 라는 부름에 집으로 달려가면 밥상에 구수한 배춧국이 놓여 있었다. 골목길에서 향수를 느끼는 것처럼 배춧국을 먹으며 고향 서울의 맛을 떠올리는 사람도 적지 않을 듯싶다. 토장을 풀어 넣고 끓인 된장국에 속이 꽉 차게 영근 배춧속을 넣어 푹푹 끓인 배춧국이 예전 가을철 서울의 별미였기 때문이다. 김장철이 지나면 일반 가정에서는 배추를 신문지에 싸서 보관했다가 배춧국을 끓였고, 예전 무교동의 배춧국은 청진동 선짓국 못지않게 서울의 한량들에게 해장국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중 유명했던 것이 일제강점기에 나온 라는 책에서 조선 팔도의 별미 중 하나로 꼽은 효종갱이라는 배춧국이다. 지금은 낯선 이름이 된 이 배춧국은 경기도 광주의 남한산성 아랫.. 더보기 장작더미보다 흔했던 명태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얼큰한 생태찌개가 구미를 당긴다. 생태,동태,북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명태는 가장 한국적인 생선이다. 때문에 생태찌개,북어구이,명란젓 등등 한국인의 밥상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 됐다. 명태가 서민의 사랑을 듬뿍 받게 된 것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잡혔기 때문이다. 얼마나 흔했는지 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원은라는 문집에 "함경도 원산을 지나다 명태 쌓여 있는 것을 보았는데 마치 한강에 땔나무를 쌓아놓은 것처럼 많아서 그 숫자를 헤아릴 수조차 없다"고 적었다. 원산에 명태가 산더미처럼 쌓인 것은 동해안에서 명태가 엄청나게 잡히기도 했지만 원산이 명태의 집산지였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동해안에서 잡힌 명태의 상당수가 원산시장을 통해 전국으로 퍼져나갔으니 명태쌓은 모습이 산더.. 더보기 크리스마스 이브엔 집김밥과 떡볶이 춥고 눈 많이 내려서 외출금지~ 추워서 못 나가겠어요. 광주는 40cm가량 폭설이 내려서 배달시키기도 미안하고 마트가 기도 힘들어서 걍~~~ 집에 있는 걸로 먹자. 재료는 부실하지만~~ 정성을 다 해서 만들었지요. 냉동실에 치즈떡볶이와 소시지가 있어서 휘리릭~~ 비록 어묵이 없지만 😂 나름 맛있었답니다 달걀 보이시나요? 6개 삶아서 다~~ 넣었어요 건강식으로 보이기 위한 당근과 쪽파♡♡ 김밥의 하이라이트 ~~~ 참기름이 없네요 😭 😢 😥 😭 김밥엔 참기름이 없음 무슨 맛으로ㅜㅜ 항상 넘쳐 났던 참기름 들기름인데 안타깝네요 슬퍼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그냥 쌌네요 대신 깨를 듬뿍 넣었어요 맛있어져라~~~~ 맛있어져라~~~ 주문을 외우며~~^^ 넘 시어져서 설탕 넣어 휘리릭~~~ 도톰해서 식감이 좋아요 저는 당근 있으면 김밥이 생각나요~~.. 더보기 동짓날엔 새알심 팥죽을 먹어야지요 동지란?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으로 기울어져 겨울밤이 일 년 중에서도 가장 길다는 날이다. 동지가 지나면 낮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옛사람들은 태양이 기운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동지를 '작은 설날'로 여겼다. 동지엔 새알 모양의 떡을 넣은 붉은 팥죽을 쑤어 먹고, 팥죽 국물은 역귀를 쫓는다고 하여 벽이나 문짝에 뿌리는 풍속이 있다. 왜 동지엔 팥죽을 먹을까? 중국의 공공씨의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신이 되었는데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역신을 쫓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아냈다는 기록이 전해져 내려온다. 팥죽을 영양학적으로 알아보면? 팥에는 전분, 단백질이 들어 있어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라이신 등 아미노산이.. 더보기 아귀찜은 천덕꾸러기에서 전국적인 인기 식품으로 먹을 것이 부족하던 시절에도 못생긴 데다 맛까지 없다며 외면당한 음식이 있다. 아무리 배가 고팠을 때도 천덕꾸러기 취급을 당하던 음식이었는데 먹을 것이 풍부해지고 영양이 넘치는 현대에는 오히려 값도 비싸고 인기 식품이 됐으니 사람 입맛 간사하기가 이루 말할 수도 없고, 세상일이란 것이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겨울철 별미로 꼽히는 아귀찜 이야기다. 콩나물 넣고 찐 아귀찜은 흐물흐물하고 물컹물컹한 껍질을 씹었을 때의 식감, 퍽퍽하면서 담백한 고깃살이 콩나물과 조화를 이루며 내는 맛이 묘미다. 여기에다 씹으면 톡 하고 터지는 미더덕이 아귀찜의 맛을 더한다. 전국적으로 아귀찜은 마산 아귀찜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아귀찜도 특징이 있다. 마산 아귀찜도 유명하지만 군산 아귀찜도 유명하고 요즘은 전.. 더보기 부모님이 주신 가을 양식♡ 가을엔 풍성한 먹거리가 가득하지요. 작은 텃밭에서 이것저것 기르신 농작물을 자식들 주시려고 가꾸신답니다. 손톱 밑이 까맣게 되어 속상하지만 '이렇게라도 움직여야 돼 ' 라며 농사를 지으세요. 제발~ 대충 하세요 ㅠ 씨가 연하다고 씹어 먹으래요 ^^ 달달하고 향긋한 석류입니다 올해는 가물어서 당근이 작네요 오늘도 물 주시느라 바쁘신 부모님~ 가장 예쁜 것만 챙겨주시는 마음이 감동입니다 ♡♡♡♡♡♡♡♡♡♡♡♡♡♡♡♡♡♡ 추운 겨울에 된장국 끓여야겠어요ㅎ 이건 제가 다듬은 겁니다 다듬고 자를 때 눈물, 콧물 쏟으며 잉~~ 쪽파가 젤로 힘들었어요 사진엔 없지만 잘게 썰어서 냉동실에도 가득 있어요 엄청 큰 고구마네요 집에 것은 가물어서 작다고 선물 받은 큰 것을 주셨어요 항상 좋은 것만 주시는 부모님~~ 제일 작.. 더보기 쌈밥.. 눈칫밥 먹는 주제에 상추쌈까지~ 한국인의 음식 문화에서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쌈'을 유난히 좋아하는 것 아닐까 싶다. 우리는 채소 중에서 잎이 조금 크다 싶은 것은 모조리 쌈을 싸서 먹는데 상추를 비롯해 호박, 배추, 깻잎과 곰취는 물론, 미나리, 쑥갓, 콩잎 쌈도 먹는다. 여기에 김과 미역, 다시마 같은 해초류로도 쌈을 싸 먹을 정도로 유별나게 쌈을 좋아한다. 쌈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상추쌈이다. "눈칫밥 먹는 주제에 상추쌈까지 먹는다"는 속담이 있었을 정도니 밥을 얻어먹으면서도 슬금슬금 눈치 보며 상추에 밥을 싸 먹을 만큼 우리는 쌈밥을 좋아한다. 어제 소고기에 양파, 고추장, 깨를 넣은 약고추장을 만들어서 쌈장대신에 먹었어요 고기대신에 스팸으로 먹었더니 별미네요~^^ 한국인이 쌈을 좋아하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